WebStudy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 수업정리 - 03 부제 : 한글 처리 get 방식과 post 방식에 따라 처리해주는 게 다르다. get방식 일 경우 1. : get방식의 경우 server 의 server.xml의 connector 부분을 추가. 그리고 resp.set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작업을 해주면 get방식에서는 한글이 정상 작동이 된다. 2 : post 방식의 경우 (useBodyEncodingForURI="true" 명시하면 get도 가능) req.setCharacterEncoding("utf-8"); String name = req.getParameter("name"); resp.set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PrintWriter out = resp.getWriter(.. 더보기 jsp 수업정리 - 02 url pattern 을 사용 하는 이유는 첫째 보완, 둘째 서브릿을 지정해주기 위해서다. jsp Views의 위치는 web_inf 폴더 안에 들어가야한다. 지금은 교육때문에 Web-contents 안에 넣은것일뿐. charSet 은 작업 오더에 따라 요구되는 방식으로 통일. http://localhost:8081/AnyThings/VIEWS/jpst_firstTest_01.jsp project 위치가 webcontents 위치라고 생각하면된다. 웹 부분과 자바 부분이 있다. AnyThigs (프로젝트 이름의 위치)가 프로젝트안에서 src의 위치와 동일하게 생각하면 된다. 다시 말하면 java의 위치는 src를 루트로 생각하고 웹의 위치는 web-contents를 루트로 한다. jsp는 서블릿을 보완하기.. 더보기 jsp 수업 정리. - 01 servlet 작동원리 브라우저 - 주소 요청 -> webServer - Container -> 메모리에 서블릿을 로딩 로딩된 서블릿은 요청에 대한 처리를 Thread를 통하여 처리. 과거 옜날 방식은 CGI 방식을 사용 : 요청 시마다 메모리에 로딩. 현재는 서블릿을 사용하여 최초 요청시 메모리에 서블릿이 올라 가고, 각각의 요청에 대한 Thread를 생성하여 요청을 처리 후 Tread만 중지. 더보기 접근지정자 및 get/set 매소드를 이용하는 이유 알다 싶히 접근지정자를 이용해 다른 클래스 또는 패키지에서의 변수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public, private,protected, default 등.. private 으로 접근이 제한된 변수의 값을 변경하기 위해 getter, setter 매소드를 이용하는데.. 그러면 그냥 public을 이용해서 변수에 접근하는게 간단하지 않은가??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있었다. 질문을 해보니 private 으로 접근제한ㅇ르 주고 getter/ setter를 사용하면 잘못된 값이 들어오지 못하게 매소드 내에서 기능을 추가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것이었다. String name 이라는 변수가 있고, 접근 제한자를 private 으로 주었을때. Class 내에 선언한 name 변수에 값을 넣을 때 "1".. 더보기 ActionListener 에서 component의 name 가져오기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e) { JComponent jc = (JComponent) e.getSource(); System.out.println(jc.getName()); }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